마이페이지 장바구니

풀바른단색실크 풀바른단색합지 풀바른실크포인트 풀바른합지포인트
풀바른어린이벽지 금주의세일상품 특수벽지 장판

상품 사용후기

마루등 바닥재 선정요령

0점 관리자 2007-01-24 17:29:29 추천: 추천 조회수: 992

 


색조별,용도별 바닥재 선정요령을 기재하였습니다.




 


1. 피부가 좋아하는 바닥재 선택

피부와의 접촉이 가장 잦은 것 중 하나가 바닥재이다. 침대사용이 일반화되어도 좌식 생활에 익숙한 우리에게 피부에 닿는 바닥재의 감촉은 중요한 부분이 된다. 따라서 바닥에 앉거나 누울 경우가 많은 거실이나 방의 바닥재는 질감이 부드럽고 산뜻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장마철을 고려해 습기에도 끈적임 없이 쾌적한 감촉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2. 아이들이 있는 경우 쿠션 감 고려

뛰거나 기어 다니는 아이들이 있다면 안전을 고려해 쿠션 감이 좋은 바닥재를 선택하도록 한다. 아이가 넘어졌어도 쿠션 감이 좋은 마루나 카페트라면 가벼운 타박상 정도로 끝날 일이 대리석 바닥이면 심한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쿠션 감이 좋은 바닥재는 예측할 수 없는 아이들의 안전사고를 조금이라도 방지할 수 있다.

3. 공간과 기능에 따라 바닥재를 다르게

아이들 공간에 쿠션 감 좋은 바닥재가 필요하듯이 공간에 따라 기능성을 고려한 바닥재 선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방음기능이 필요한 음악실은 카페 트나 코르크타일 등 흡음성이 좋은 것을 깔고,아이들 방은 쿠션 감뿐 아니라 내 오염성이 좋은 것을 선택한다. 부엌은 물기와 오염 등에 강하고 내구성이 좋은 바닥재를 선택한다.

4. 가구와의 조화

가구를 모두 교체하는 리노베이션이라면 새로운 스타일에 맞춰 바닥재를 선택하면 되지만 단순히 바닥만 교체하는 공사라면 기존의 가구 스타일을 중심으로 바닥재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바닥재 자체의 디자인보다는 가구들과의 안정감 있는 조화가 중요하다. 바닥재는 한번 시공하면 짧게는 10여 년에서 길게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그 만큼 비용도 많이 든다. 지나치게 튀거나 과감한 것보다 무난한 것을 선택해야 후회가 없다.

5. 샘플과 실제는 다르다.

손바닥만한 샘플을 보고 소재나 컬러를 선택하는 것은 금물이다. 같은 무늬라도 면적에 따라 분위기가 전혀 달라질 수 있고,샘플만 보았을 때는 어두워 보이지 않았지만 시공해 보면 어두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관심이 가는 바닥재는 모델하우스나 전시장,이웃집 등 실제 시공된 공간을 눈으로 확인하고 선택하도록 한다.

6. 일조량도 중요한 변수

바닥재의 생상을 선택할 때는 일조량을 고려해야 한다. 아파트의 저층 등 비교적 일조량이 적은 집은 밝은 톤의 바닥재를 선택해 공간을 경쾌하게 연출하고 일조량이 많은 경우 밝은 색 바닥은 산만해 보일 수 있으므로 조금 어두운 색으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7. 바닥재 하나로 집안을 넓게


바닥재 하나로도 공간이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넓어 보이게 하려면 바닥 색을 벽과 같은 계열로 하고,안정감을 주고 싶다면 바닥 색을 벽보다 조금 진하게 하는 것이 좋다. 모든 공간의 바닥재를 같게 하는 것도 집안을 넓어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문까지 교체하는 리노베이션이라면 문지방을 없애는 것도 좋다. 집안이 넓어보일 뿐 아니라 문턱이 없어 청소를 할 때도 편리하다.

8. 부대공사 여부 확인

바닥재의 종류에 따라 시공규모가 달라진다. 같은 마루라도 제품에 따라 바닥을 철거해야 하는 경우와 그 위에 덧씌워 시공하는 경우가 있다. 대리석은 두께가 두꺼워 바닥을 파내거나 문지방과 문을 교체해야 한다. 이런 부대공사는 시간과 비용을 초과하게 되므로 사전에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

9. 바닥재 공사에도 기초화장

맑고 깨끗한 얼굴을 위해서는 화려한 메이크업에 앞서 기초화장이 중요하듯 바닥재 공사에도 바닥면을 깨끗이 하는 것이 좋은 바닥재를 선택 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우선 바닥면이 고른지 확인한다. 수평이 맞지 않거나 바닥면이 고르지 않으면 PVC바닥재를 본드로 시공했을 때 바닥면의 불균형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다. 또한 습기를 완전히 제거한 뒤에 작업하도록 한다. 대부분의 바닥재는 본드로 시공되기 때문에 습기가 남아 있으면 바닥이 구겨지는 웨이브 현상을 초해 할 수 있다.

10. 이음선 최소화

마루나 타일류가 아닌 바닥재는 대부분 롤형태로 말려져 있어 불규칙한 이음선이 생기게 마련이다. 처음에는 이음선이 눈에 띄지 않지만 시간이 흘러 바닥재에 때가 타면 이음선이 지저분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중저가대 PVC륨의 경우 열에 의해 수축되는 경향이 있어 이음선이 지저분하게 드러난다. 깔끔한 마감을 위해서는 이음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마감재의 폭과 시공공간의 넓이를 고려해 이음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 계산하다. 이때 이음선이 가구로 가려지게 배치하면 더욱 좋다.

11. 시공 후 관리요령,품질보증 여부 확인

시공 후 관리요령과 주의점 등을 꼼꼼히 체크한다. 주기적으로 코팅이 필요하지는 않은지,마른 걸레질이 필요하지는 않은지 등 바닥재를 보다 깔끔하게 오래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관리요령을 알아두고,하자가 발생했을 때의 응급처치 법,품질보증 여부도 확인한다. 만약의 부분 개 보수를 대비해 여분의 바닥재를 챙겨두는 것.

첨부파일: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이름 비밀번호

/ byte


*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

댓글 수정

비밀번호

/ byte